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9

[자료구조] 점근표기법(asymptotic notation) 점근표기법(asymptotic notation) O (빅-오) 점근적 상한에 대한 표기법. O(g(n))O(g(n))은 g(n)g(n)의 증가율보다 작거나 같은 함수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O(n^2)에는 O(1),O(n),O(nlogn)O(1),O(n),O(nlog⁡n) 등이 포함된다. 주어진 알고리즘의 증가율보다 크거나 같은 최소의 증가율을 찾는 것이 목적. #Big O 표기법 이해하기 f(x) ≤ c*g(x)을 증명할 수 있으면 f(n) = O(g(n))는 참이다. 예시 f(x) = 2x^2+3, g(x) = x^2 일때, f(x) = O(g(x))는 참인가? f(x) = O(g(x)) is true when c=3 x≥2 #O(1),O(n),O(logn)O(n^2),O(n^3) 비교 Ω (빅-오.. 2020. 10. 2.
리뷰 논문(review paper)이란?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SlideShare를 보고 새로운 연구 주제에 처음 입문하는 법으로 최근 리뷰 논문을 몇 개 골라서 읽어라는 조언을 봤다. 지금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대학원생 친구도 리뷰 논문으로 시작하라는 말을 했던 기억이 있어 연구 논문(research paper)과 리뷰(review paper) 논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리뷰논문(review paper)이란? - 리뷰 논문은 특정 주제에 대한 여러 최신 연구 결과들에 대해 정리한 논문이다. - 대부분 그 분야의 대가 혹은 rising star들이 그 논문을 쓴다. - 길이가 길고 reference들이 아주 많다. 실험 논문과 달리 리뷰 논문은 실험 없이 다른 논문을 바탁으로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거나 연.. 2020. 10. 1.
방향성의 중요성 (feat.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어제 석사 졸업 후 연구직으로 계시는 분을 오랜만에 만났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커리어에 관한 이야기를 했다. 커리어에 대해 나는 기술과 지식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이니 무슨 직업을 갖는 것보다 빠르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통해 시대 적응력이 뛰어난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 점에서는 나는 자부심이 있다고 말했다. 그 말을 듣더니 그 분은그럼에도 '방향성'은 중요하다고 말씀하시더라. 집에 돌아오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그 방향성에 대해 나는 얼마나 깊이 생각했는가.그리고 얼마나 나의 방향성은 정리가 되었는가. 방향성 설정이 중요하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은 그 방향성을 있는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수단과 도구로서 필요한 것이다. 최근에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 2020. 10. 1.
[코드업 기초 100제] 1081~1099 #1081 : [기초-종합] 주사위를 2개 던지면? 1부터 n까지, 1부터 m까지 숫자가 적힌 서로 다른 주사위 2개를 던졌을 때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를 출력해보자. #include int main (){ int a, b; scanf("%d %d", &a, &b); for(int i = 1; i 2020. 9. 30.
Challenge challenges 나를 요즘 유행하는 MBTI로 표현하자면 ENTJ이다. 도전과 경쟁을 사랑한다. 정확히는 그 도전과 경쟁을 통해 내가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거나 성장했음을 느낄 때 가장 행복한 사람이다. 자소서 같은 곳에 쓸 말 같지만 실제로 나는 professional self-development이 내 인생의 중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작년에 석사 과정을 준비할 때 경영대학 내 빅데이터 관련 전공과 정보대학 내 빅데이터 관련 전공에 합격했었다. 수학적, CS적 Background가 없음에도 나는 정보대학을 선택했고 공학석사에 도전하고 있다. 지금 시대가 공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것도 있었고 다양한 이유가 있었지만, 내가 못하는 분야를 도전함으로써 나의 가능성의 영역을 넓히고 싶었던 이유가 가장 크다. 이틀 전, 프.. 2020. 9. 30.
[코드업 기초 100제] 1061~1080 #1061 :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비트단위로 OR 하여 출력하기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or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include int main (void) { int num1,num2,result; scanf("%d %d", &num1 , &num2); result = num1 | num2; // |(bitwise or) printf("%d",result); return 0; } #1062 :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비트단위로 XOR 하여 출력하기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xor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include int main (void) { int num1,num2,result; scanf("%d %d", &num1 , &num2).. 2020. 9. 27.
[코드업 기초 100제] 1041~1060 #1041 : [기초-산술연산] 문자 1개 입력받아 다음 문자 출력하기 영문자 1개를 입력받아 그 다음 문자를 출력해보자. 영문자 'A'의 다음 문자는 'B'이고, 영문자 '0'의 다음 문자는 '1'이다. (힌트) 아스키문자표에서 'A'는 10진수 65로 저장되고 'B'는 10진수 66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문자도 값으로 덧셈을 할 수 있다. #include int main(void) { char c; scanf("%c",&c ); printf("%c", c + 1); return 0; } #1042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몫 출력하기 정수 2개(a, b)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해보자. #include int main(void) { int a, b; scanf("%.. 2020. 9. 27.
[코드업 기초 100제] 1021~1040 #1021 : [기초-입출력] 단어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1개의 단어를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해보자. #include int main (){ char data[51]=""; scanf("%s", &data); printf("%s", data); } #1022 : [기초-입출력] 문장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공백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문장을 입력받고 그대로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자. #include int main (){ char data[2001]; fgets(data, 2000, stdin); printf("%s", data); } #1023 : [기초-입출력] 실수 1개 입력받아 부분별로 출력하기 실수 1개를 입력받아 정수 부분과 실수 부분으로 나누어 출력한다. #include int m.. 2020. 9. 27.
샤넬처럼 공부하기(feat. Top-Down) 나는 현재 대학원에 다니며 Business Analyst로 일하고 있다. 그동안 경영층과 팀원들의 빠른 의사 결정을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나의 분석은 sloppy&quick을 지향해 왔다. 빠르고, 단순하고, 데이터 리터러시가 낮은 사람도 5초 이내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고 대학원에 진학한 뒤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복잡한 문제를 푸는 모델링을 해본 사람이 sloppy&quick한 분석을 할 수 있어도 sloppy&quick한 분석만 하던 사람이 높은 수준의 알고리즘을 만들 수 있을까? 그리고 어느 패션 역사 책에서 봤던 구절이 떠올랐다. "샤넬의 취향은 다양하진 않지만 모두 훌륭하다." 그렇다. 나는 진정한 연구자가 되려면, 어떤 한 분야를 깊게 파보고 깊은 '통찰'이라는 것을 가져야 한다. 다양한 .. 2020. 9. 24.
[코드업 기초 100제] 1001~1020 #1001 : [기초-출력] 출력하기01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return 0; } #1002 : [기초-출력] 출력하기02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1003 : [기초-출력] 출력하기03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nWorld"); return 0; } #1004 : [기초-출력] 출력하기04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return 0; } #1005 : [기초-출력] 출력하기05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 2020. 9. 23.